2013년 8월 5일 월요일

8월5일 java


HDD 의 구조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고 시작한다.






부연설명 

플래터는 자석가루의 띠로 구성되어져 있고 1분에 최대 7200번의 회전을 한다
그리고 양면에 데이터를 기록할수있다.
자석가루의 띠를 "트랙" 이라고 하는데 트랙은 섹터로 나누어져있고 
1섹터당 512 byte를 저장할수있다.

스핀들(Spindle)은 플래터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말하고 스핀들을 돌리는 
스핀들모터는 플래터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준다. 회전속도가 불안정할경우 읽고 쓰는데 있어서 에러가 발생할수있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에 굉장히 중요한 부품이다.

head에는 헤드를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서브모터가 있다.

File System.----

*파일이 어떤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지 관리하는것

FAT32 는 FAT 파일 시스템의 32비트 버젼으로, Windows NT 4 계열에 주로 사용됩니다. FAT16 에 비해 클러스터 낭비를 줄이고, 출시 당시로서는 대형 용량을 지원합니다. FAT32 는 상대적으로 단순해 메모리 사용률이 낮고, 운영 방식이 단순하기 때문에 저용량 볼륨에서 성능적으로 우수합니다. 다만, 자체 보안 기능이 없고, 4G 이상 파일의 저장이 불가능하며, 대용량 불륨의 경우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NTFS 는 Windows 2000 계열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파일 시스템으로, 파일 암호화와 사용 권한 설정 등을 지원합니다. 또한, 디스크 공간 할당량을 지정할 수 있고, 유니코드 문자 집합을 지원하는 등 여러 가지 신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NTFS 는 대용량 볼륨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접근 속도를 높이고, 기본 클러스터 크기를 더 줄여 디스크 공간의 낭비를 줄였습니다. 그밖에도, 더 향상된 보안, 복구 기능들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NTFS 포맷 자체만으로 일부 용량을 차지해 저용량 저장 장치에는 비효율적입니다.



formet : 파일시스템을 만드는것이다.




java 자료형의 종류와 구분 




값의 크기(표현 가능 범위)는 메모리의 크기를 의미한다.

char : 마이너스를 기록하지않는다.

숫자값의 표현방식에 대해서 보면 

7을 그냥 표기하면 십진수 7이지만 "07" 이라고 표기될경우 (8진수) 7인 것

10을 그냥 표기하면 십진수 10이지만 "010"은 (8진수) 8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숫자값의 다양한 표현방식이 존재한다는것을 잊지말자.

*변수선언

: 메모리를 준비하라는 명령

 byte b; = 1바이트짜리 메모리를 준비하되 이름은 b 라고 한다. 

*값의 표현 (Literal)

10 <- int형 정수 (4byte)

10L <- long형 정수(8byte)

: ex) int i = 10L ; //이것은 오류가 난다

// 8바이트의 Long형 정수를 4바이트의 int형 변수에 넣을 수 없기 때문

10.0f <- float형 실수

10.0 <- double형 실수

: ex) float f = 10.0; // 경고

*부동소수점

: 소수점이 떠다닌다.

->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다.

float f = ?; <- 유효자릿수 6자리

double d = ?; <- 유효자릿수 15자리 

부동소수점의 세계에선 유효자릿수가 굉장히 중요하다

//double이 float보다 두배 더 정밀하게 계산할수 있다

유효자리수? double이나 float형에서 6자리 혹은 15자리까지는 정확하게 들어갔다가 나올수

있다. 즉 그 범위 안에서는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다.

.




다만 이런 경우를 조심하자.

처음 입력할땐 범위 안에 있었지만 연산후 범위를 벗어나는 상황을 유의한다.
[출처] hdd 구조|작성자 에코나비고

댓글 없음:

댓글 쓰기